欢迎来到中韩人力网! [登录]  [个人/企业注册]  [회원가입]  [기업가입] VIP会员办理|服务热线:010-67678282   联系方式   设为首页
当前位置:首页 >> 实时情报 >> 양은 왜 12가지동물중 여덟번째일가

양은 왜 12가지동물중 여덟번째일가

点击:次 添加日期:2015-03-02 13:33:28 来源:중한인력-취편부 编者:조은날  

在华韩企招聘网

 

人力 韩国企业招聘 文版新闻올해 "양띠해" 예년에 비해 늦게 들었고 따라서 사람들은 음력 새해에 대한 기대로 더욱 부풀었다. 양자가 들어가는 한자는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예하면 (), (), (), () 같은 글자들이다.

  많은 중요한 출토문화재로 보면 양이 사람들의 인식속에 깊이 각인되어 있었음을 유추해 볼수 있다. 예로 상나라 때의 "사양방존(四羊方尊)", 한나라 때의 "양형동등(羊型銅燈)", 당나라 때의 "삼채도양(三彩陶羊)" 등을 들수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인 챵족은 지어 양을 자신의 조상으로 여긴다.

   양이 옛사람들의 인식속에서 어떤 지위를 차지했을가, 양이 보여준 함의가 어떤 역사적인 변화를 가져왔을가? 중국 수도박물관 곽소릉(郭小凌) 관장과 함께 알아본다.

  

   기자: 양은 고대 중국인들의 인식속에서 어떤 지위를 차지했을가?

   : 양은 고대인들의 마음속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로 존재해 왔다.양은 순한 특징이 있으며 한자의 ()자와 같은 음을 가지고 있어 온화함과 부드러움, 아름다움, 상서로움, 광명 등을 상징했다. () 부수로 사용할 경우 대체로 상술한 의미를 나타내며 12간지에서 양을 선택했다는 자체가 바로 증빙이라고 할수 있다. 중국의 고대 각이한 재질의 공예품중에는 양을 형상한 작품들이 많은데 이는 대부분 길상과 아름다움이라는 문화적 의미를 띠고 있어 예로부터 사람들의 각광을 받아왔다.

   : 양이 보여주는 의미는 특히 많다. 자전을 찾아보면 양과 관련되는 한자는 그리 많지는 않으나 "()" 포함된 글자는 대부분 긍정적이고 아름다운 내용을 담고 있다. 사람들은 "양대위미(羊大爲美)"라고 말했는데 뜻인즉 살찐 양의 모양이 매우 아름답다는 것이다. 고대에 양은 중요한 음식물이었기에 감각적인 즐거움이 이성적인 즐거움으로 승화된 것이라 볼수 있겠다. 양은 "아름다움"이라는 이미지의 구체적인 구현이었는데 예하면 "양지옥(羊脂玉)" 최상급의 옥석을 지칭했다.

   한자 정자체의 "()" "" "" 합쳐서 만들어졌다. 실제로 양은 중국의 도덕범주에서 명확한 지칭성을 가지고 있었다. 고대전설중에 공정함을 나타내는 신수인 "해치" 있는데 법가의 제자들은 동물의 원형이 외뿔양이며 양은 선과 악을 판별할수 있다고 여겼다. 때문에 고대기물중에는 "양이 꿇어 앉은 모양" 많이 들어가 있다.

   "()"자가 출현하기 전에는 "()"자가 뜻을 나타냈다. 그런 연유로 고대의 많은 기물중에는 "대길양(大吉羊)"이라는 글자를 찾아볼수 있는데 뜻은 바로 길상스러움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비록 후에 祥자가 만들어졌지만 여러 기물들에는 여전히 양의 그림을 넣어 길상의 뜻을 나타냈다.

   

   기자: 양에 대한 인식에는 지역적, 민족적 구분이 있는걸가?

   : 티베트불교에서 양을 원형으로 신은 믿음의 화신이다. "양을 타고 법을 수호하다" 장면중 양을 사람은 대장쟁이인데 사람은 후세에 의해 "장신(匠神)"으로 불렸다. 그가 타고 있는 양이 바로 자신의 생명을 맡긴 동물이다. 때문에 양은 티베트불교에서 상서로운 짐승으로 여겨진다.

   챵족은 양을 토템으로 숭배해 왔다.설문해자에 보면 "챵은 양의 후손"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챵족과 양이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챵족의 선민들은 일찍부터 양을 길들이고사육해 왔으며 양을 통해 생활필수품을 얻었고 대자연을 정복하는 힘을 얻었다. 당시의 챵족은 양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내용을 제공한다고 여기는 한편 양이 신령과 통한다고도 여겼다. 종교의식을 거행할 때면 챵족의 무당들은 양털옷을 입고 양가죽으로 만든 북을 법기로 사용했다. 챵족 복식중의 "양각문(羊角紋)" 양과 챵족인들의 생활이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기자: 지금 일부 사람들은 "양띠는 명이 좋지 않다" 여기고 양띠해에 애를 낳지 않으려 하는데?

   역사적으로 미움을 받았거나 악한 사람들중에 양띠인 경우가 있었다. 이를 강조하다보니 민간에서는 양띠인 사람은 운명이 굴곡적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역사인물들의 간지를 살펴보면 양띠에 속하는 성공인물들도 수없이 많다. 지어는 일부 카리스마가 넘치는 인물들도 양띠인데 양의 특징과는 전혀 다르다. 예하면 당태종, 누르하치, 잡스를 비롯한 명인들이다. 수천년의 인류문명역사중 양띠를 가진 사람들중에는 운명이 순탄한 사람도, 굴곡적인 사람도 수없이 많았다.

   때문에 "양띠는 명이 나쁘다" 말은 전혀 근거가 없고 믿을바가 못된다. 그러나 이런 내용들이 계속 전해지는걸가? 이는 현대인들의 심리와 연관시켜 필요가 있다. 현대사회는 경쟁이 치열하며 일반인들은 대부분 경쟁상대를 이기거나 남보다 월등한 순위를 차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양은 온화하고 지어는 나약하며 먹이사슬에서 말단 위치에 있어 양띠인 사람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업수임을 당할 우려가 있다고 여긴다. 그러나 12간지중의 양은 민간에서 이런 부정적인 묘사나 개괄된 내용이 없다.

   

   기자: 양은 12간지중에서 여덟번째 자리를 차지했는가?

   : 이번 전시회를 위해 많은 자료를 찾아봤다. 12간지의 동물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연륜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시간도 기록하는 기능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물론 12간지와 관련해서는 여러가지 전설이 있다. 본인의 이해에는 동물의 시간대별 생활습성과 12간지중의 순위가 대응되지 않을가 여겨진다. 예하면 "" "자시" 많이 움직이므로 제일 자리에 배치되었을 것이고 양은 7,8월에 제일 살이 오르기 때문에 여덟번째에 놓았지 않았나 생각한다.

   

   기자: 많은 사람들이 설분위기가 점점 적어지고 민속과 예의의 중요도가 하락한다고 여기는데?

   : 전통적인 민속과 예절은 생활절주가 늦은 농경시대의 산물이다. 자급자족의 농경사회에서는 현대사회와 같은 치열한 경쟁이 없었다. 늦은 생활템포중에서 시간도 매우 더디게 흘러가는 느낌이었을 것이다. 생활에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사회관계를 조정하고 규범화하기 위해 사람들은 복잡하고 번다한 픙속과 예절을 만들었고 이를 이어가고 발전시켰다. 물론 때로는 전통풍속의 단열이 생기기도 했다. 예하면 상대적으로 강한 문화적 침입을 받게 되면 그곳의 낡은 풍속과 예절이 변하거나 지어는 없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일부 민속이 점점 쇠락하거나 사라질 위험에 처하는 것은 두려워할 바가 아니라고 본다. 일부 민속은 낙후한 일면을 가지고 있다. 예하면 여자들이 발을 동여매서 자라지 못하게 하는 "전족" 같은 것이다. 일부 픙속과 예절은 시대발전의 수요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과거의 풍속이 퇴화하고 소실되고 변화하면서 새로운 풍속이 나타나고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박물관에서 설을 보낸다" 역시 새로운 설방식이라 할수 있고 이번 방식이 새로운 민속으로 자리잡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기자: 민속이 점차 사라진다면 그럼 민족문화전통은 어떻게 지켜갈 것인가?

   : 민족의 제일 중요한 문화적표징은 언어이며 구체적인 풍속이 아니다. 지어는 피부색과 같은 종족적인 특징도 아니다. 역사적으로 한족은 여러차례 기타 민족에게 정복당한 적이 있다. 그러나 한족의 역사와 문화적 내포를 담은 언어와 문자는 정복자들을 동화시켰다. 한자의 풍부성은 기타 언어체계보다 뛰어나다고 할수 있다. 한어문자는 글자마다 단어마다 원래의 뜻과 파생적의미가 있으며 문자를 사용하는 민족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보여준다.

   때문에 한어 언어문자가 존재하는 풍속습관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관계없이 중화민족의 문화는 소실되지 않을 것이다. 언어라는 문화적 유전자가 없어지지 않는 역사와 핵심전통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韩国企业招聘www.cn-kr.net

 

 

 

 

推荐阅读more

关于我们
关于网站 会员服务
广告投放 网站地图
联系我们 诚聘英才
个人求职
个人注册 职位列表
职场指南 职位搜索
关于网站 网站声明
企业服务
企业注册 韩企黄页
发布职位 VIP服务
简历搜索 韩语人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