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한인력망 한국어판 8월 20일] 삼성전자의 글로벌 매출 가운데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올 상반기에 30%를 넘어서며 미주 시장을 처음 추월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의 매출액(별도 재무제표 기준)은 총 83조 9천 217억 원으로, 이 가운데 중국 시장 매출이 32.7%(27조 4천 102억 원)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매출 비중은 5년 전인 2013년만 하더라도 18.5%에 그쳤으나 2014년 20.6%로 처음 20%대에 진입한 뒤 2015년 23.4%, 2016년 23.9%, 2017년 28.3%에 이어 올해는 30%를 넘어서면서 계속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반면 과거 삼성전자의 주력 시장이었던 미주는 2016년 31.8%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했으나 지난해 30.2%에 이어 올 상반기는 26.0%에 그치면서 처음으로 중국보다 뒤처졌다.
이는 최근 글로벌 강자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IT 업체들이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등의 주요 고객사가 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미국 트럼프 정부를 필두로 한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 기조 강화로 인해 과거 스마트폰, TV, 가전 등 완제품을 많이 팔았던 미국과 유럽 시장이 상대적으로 축소된 것도 또다른 요인으로 꼽혔다.
실제로 삼성전자가 최근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5대 매출처에 중국 스마트폰 생산업체인 중국 화웨이가 처음으로 포함됐다.
이 외에 미국 애플과 버라이즌, 독일 도이치텔레콤, 홍콩 테크트로닉스 등이 이름을 올렸다.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 매출 가운데 이들 5개 업체가 차지한 비중은 11%에 달했다.
2016년과 지난해에는 5대 고객사가 미국 애플 외에 미국 베스트바이·스프린트·버라이즌과 독일 도이치텔레콤 등 이동통신사 및 유통업체였으나 올해 들어서 중국계 IT 업체가 2개나 등장한 것이다.
화웨이는 올해 2분기에 미국 애플을 제치고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2위를 차지하며 선두 삼성전자를 바짝 추격했다. 삼성전자로서는 화웨이가 주요 경쟁업체인 동시에 주요 고객사가 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오랜 기간 애플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공급해 온 것처럼 IT 업계에서는 경쟁업체와 협력업체를 구분하는 게 큰 의미가 없다"면서 "특히 삼성전자는 완제품과 부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종합 IT 기업이어서 이런 양상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推荐阅读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