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한 고발프로그램에서 중국조기유학에 대해 방송을 한적이 있었습니다.방송의 내용을 보면서 중국유학업계에 오래동안 몸담은 저로서는 조금 답답한 심정이 들더군요.우선 개념부터 쉽게 풀어볼까요.
▶ 차반(중국학생반)
쉽게 설명하자면 중국학생반에 들어가서 중국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는 과정입니다.
▶ 국제반두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습니다.
어학중심의 국제반
한국은 3월학기가 신학기이고, 중국은 9월학기가 신학기입니다. 한학기의 갭이 있기 때문에 해당 기간동안 어학연수 과정을 듣게 됩니다. 이 과정은 순수한 어학연수 과정이지 학력을 인정받는 과정은 아닙니다. 어학중심의 국제반에서 한학기 어학연수를 받은 후, 차반을 하거나 아니면 두번째 개념의 국제반에서 정규 학력과정을 이수하게 됩니다.
학력과정의 국제반
유학생들끼리 클래스를 이뤄 학력을 인정받는 과정입니다. 중국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지는 않지만, 중국의 정규 과정 수업을 이수하게 됩니다. 하지만 중국학생들과 같이 정규수업 과목을 모두 같은 비중으로 공부할 필요가 없기 때문 에 중국 명문대 입시과목인 중국어 어문, 영어, 수학 위주로의 학습이 가능합니다.그렇다면 과연 차반만이 좋은 것이고 국제반은 문제가 많은 과정일까요.이 부분은 중국조기유학의 역사를 보면 쉽게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1990년 후반부터 2000년 초반까지는 국제반 형태의 조기유학이 없었습니다.중국어를 가르치는 어학중심의 국제반이 없었기 때문에 한국유학생들은 알아서 중국어 공부를 하고 알아서 중국 초중고에 입학해야 했습니다.당연히 적응하고 수업을 따라가는데 문제가 많았겠지요.2000년 초반이 넘어서면서 어학중심의 국제반이 처음 선을 보였습니다.
한학기, 혹은 1년간 어학중심의 국제반에서 수업을 듣고 무조건 차반으로 들어가야 하는 과정였습니다.한국인, 혹은 한국업체가 학교와 계약을 맺고 에이전시의 개념으로 국제반 과정과 생활관리(기숙사) 부분을 맡는 형태였습니다.
단, 어학연수 과정이 끝나고 중국학생반에 들어가 수업을 받을 때, 따라갈 수 있느냐가 문제였고, 중국명문대 입학을 위한 입시준비과정이 미흡했다는 것이 단점였습니다.2000년 중반부터는 어학중심의 국제반과 더불어 학력과정의 국제반이 선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어학중심의 국제반 이수 후, 학생은 차반으로 갈 것인지, 아니면 학력과정의 국제반으로 갈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저학년(중학교) 학생들은 차반을 선호하고, 중국 명문대 입시를 눈 앞에 둔 고학년(고등학생) 학생들은 학력과정의 국제반을 선호하게 됩니다.또한 이때부터 중국 명문대 입시를 전문으로 하는 특화된 학교들이 나오기 시작합니다.중국 명문대 입시를 전문으로 하는 학교들은 당연히 학력과정의 국제반 형태로 발전하게 됩니다.
저는 차반 형태가 국제반 형태보다 좋다, 나쁘다라고 규정짓지 않습니다.중국학생들과 자연스레 어울릴 수 있고, 중고등학교 정규 학과목을 모두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는 차반도 분명 큰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중고등학교 정규수업을 제대로 따라갈 수 있을 때의 얘기입니다.한학기 혹은 1년 어학연수를 받는다면 보통 HSK4~5급 수준이 되는데, 사실 HSK4~5급은 중국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의 수준입니다.
이 역시 HSK가 회화위주의 평가임을 감안한다면, 실제 초등학교 저학년 수업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그런 유학생을, 그것도 고등학교 과정으로 차반을 시킨다면 과연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중국학생반에 들어오는 중국 교사들은 30~40여명의 중국 학생들 수준에 맞춰 수업을 진행하지, 1~2명인 한국유학생 중국어 실력에 맞춰 수업을 진행하지는 않을테니까요.
많은 유학생들이 갑작스레 바뀐 교학환경(국제반→차반)에 적응 못하고 수업 시간마다 맨 뒤에 앉아 잠만 자는 경우가 속출하게 됩니다.물론 국제반이라고 해서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과거 중국의 한 학교는 국제반(어학과정, 학력과정)으로만 운영을 하면서 너희들은 HSK등급만 있으면 중국 대학을 갈 수 있으니 다른 공부할 필요없이 HSK만 준비하라고 했습니다.
실제 수업도 구HSK6급(신HSK 5급 180점)을 따기 위한 수업으로만 진행되었고요.말이 좋아 HSK만 따면 된다라고 한거지, 실제로는 교사 채용 등에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해당 비용을 아끼고자 수업을 임의적으로 축소시켰던 것이지요.이렇게 HSK 수업만을 진행해 줄 바에는 차라리 차반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봅니다.제대로된 학력과정의 국제반이라면..
- 중국 명문대 입시 과목인 중국어 어문과 영어, 수학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진행합니다.
- 하지만 후이카오(會考)를 위해서라도 다른 기타 과목 역시 기본적 개념 위주의 수업은 진 행해줘야 합니다.
- 고등학교 2학년 과정부터는 중국 명문대(북경대, 청화대, 인민대 등)에 맞춰 각각의 입시 준비반을 개설해줘야 합니다.
- 성공적인 조기유학은 생활관리로부터 출발합니다. 당연히 생활관리 시스템이 철저해야 합니다.이러한 환경요소에 대해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국제반이 제대로 된 중국조기유학 학교라 할 수 있습니다.그럼 최근 중국조기유학의 추세는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요.차반(중국학생반)의 경우..부모님께서 중국 주재원으로 들어가 다년간 조기유학을 한 학생들은 차반(중국학생반)으로 운영되는 학교로의 입학도 많이 고려하고 있습니다.이미 상당한 중국어실력을 갖추고 있으니까, 중국학생반에 들어가 수업을 듣는데 큰 부담이 없겠지요.하지만 이런 케이스의 학생들 역시 고등학교 2학년쯤 되면 중국 명문대 대학입시준비를 위해 "학력과정의 국제반" 과정이 잘되어 있는 학교로 전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초등학교, 중학교 과정까지는 일정수준의 중국어 실력을 갖추게 되면 차반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아직 어린 학생들이니까 수업과는 상관없이 중국학생들과 어울려 공부하는 것이 더 좋겠지요.하지만 이러한 케이스 역시 고학년이 되면 국제반이 잘 조성되어 있는 학교로 대부분 전학을 하게 됩니다.
이처럼 현재 중국조기유학은 국제반 시스템이 하나의 대세로 흐름을 주도하고 있습니다.과거 북경대학과 청화대학가 단지 HSK만으로 유학생을 선발했을 때에는 차반(중국학생반)과정을 선택하는 것도 문제가 되지 않았지요.하지만 북경대학 등의 입학시험 난이도가 해가 다르게 어려워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체계적인 중국어 실력 향상과 중국 명문대 입시준비를 위해서는 국제반을 선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아직도 신입생이나 신입생 학부모님들은 차반(중국학생반)을 고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한학기 정도 지나고 나면 생각을 바꿔 국제반이 잘 조성된 학교로 옮기는 케이스가 대부분입니다.
이와 같이 중국조기유학에는 아직까지도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의 갭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습니다.중국조기유학을 준비하는 학부모님들께서는 학교를 선택하기 전에 어떠한 과정이 자제분에게 맞을지를 반드시 중국조기유학 전문상담사와 먼저 상의토록 하십시요.
이상은중국유학에 대한 저의 소견입니다.많은 참고 바랍니다.
우리는 중한연합 북경국제문화전파유한공사 유학원입니다. 위 글 보시고 중국유학에 도움이 더 필요하시다면 중한인력망 www.cn-kr.net 거나 전화로 문의 하십시오.
전화: 86-10-67678282 이메일: pchengde@126.com
연계인: 박원장님 휴대폰: 86-013910774088
推荐阅读more